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UI용어
- 색상
- 신입
- 디자이너
- UX용어
- UXUI
- ux란
- 유채색
- UXUI디자인
- 실험적타이포그래피
- 타이포그래피란?
- 채도
- 무채색
- uiux
- 타이포
- 편집디자인
- 색상환표
- 웹디자이너
- UI
- 웹디자인
- 기능적타이포그래피
- dpippi차이점
- 디자인
- 기능적타이포
- ux
- 웹디
- User Experience
- 타이포그래피
- 신입ui용어
- ppi
- Today
- Total
예띠
해상도란? (PPI, DPI)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의 주제는 해상도의 개념을 가지고 공부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를 사용해보았다면 누구나 해상도라는 단어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하지만 해상도를 설명하기엔 몬가 어려운 느낌이 드시지 않나요? 저 또한 해상도의 뜻은 대충 알지만 누구한테 설명하라고 하면 많은 어려움을 가질 것 같습니다.
특히 웹/앱 관련 업무를하는 저희로선 꼭 알아야 할 필수 요소이기도하죠. 그렇기 때문에 오늘 해상도의 개념을 같이 한번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상도란?
해상도란 이미지의 정밀도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지표로 이미지를 몇 개의 픽셀 또는 점으로 나타냈는지를 뜻 합니다.
여기서 픽셀은 PPI(Pixel per inch)를 뜻하고 점은 DPI(Dot per inch)를 뜻합니다.
PPI란(Pixel per inch)?
PPI란 무엇일까요? 우선 사전적 용어부터 보고 넘어가겠습니다.
위키피디아에 검색 내용
- 픽셀 퍼 인치(Pixels per inch)
네이버 지식백과 검색 내용
- pixels per inch의 약어. ppi는 해상도를 측정하는 단위로 dpi(dots per inch)와 바꾸어 쓸 수 있다.
PPI는 'Pixels per Inch'의 약자로, '1인치 당 픽셀(Pixel)이 몇 개인지를 나타내는 화상(모니터)의 픽셀 밀도'를 뜻합니다. 즉, 100 ppi라는 말은 1인치 당 100개의 픽셀이 들어 있고, 100 ppi는 100x100 즉, 10,000개의 픽셀이 들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ppi가 높으면 그만큼 선명도는 높아진다는 뜻입니다.
ppi는 주로 웹페이지 제작 또는 디지털에 국한된 이미지 편집 업체 등에서 주로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DPI란(dot per inch)?
DPI란 무엇일까요? 우선 사전적 용어부터 보고 넘어가겠습니다.
위키피디아에 검색 내용
- 도트 퍼 인치(dot per inch): 인쇄와 디스플레이 해상도의 측정 단위
네이버 지식백과 검색 내용
-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나, 프린터의 해상도 단위이다. 화면 1인치당 몇 개의 도트(점)가 들어가는지를 말한다. 프린터에서 출력해야 할 출력물의 해상도를 조절하거나 스캐너로 사진이나 슬라이드 필름, 그림 등을 스캔받을 때 입력 물의 해상도를 조절할 때 쓰는 단위이다.
DPI는 'Dots per Inch'의 약자로 1인치 당 점(Dot, 도트)이 몇 개인지를 나타내는 인쇄물의 도트 밀도를 뜻합니다. 도트는 인쇄물에서 이미지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인데요. 쉽게 말해 DPI는 이미지를 출력할 때 인쇄물이 얼마나 정밀하게 표현되는지와 관련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DPI 수치가 높을수록 도트의 개수가 많고, 더욱 선명하고 세밀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겠죠. DPI는 흔히 프린터 해상도라고 합니다. 주로 인쇄물 쪽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이기도 하죠.
여기서 궁금한 사항이 생기실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무조건 ppi/dpi를 높게 해서 작업을 하는 게 좋지 안 나요?
답변은 NO입니다. ppi/dpi는 높을수록 세밀한 표현이 가능하지만 화소 하나하나는 모두 메모리에 그 정보가 기록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상도가 높아지면 그만큼 메모리를 많이 소모하게 됩니다. 메모리 용량은 무제한으로 커질 수 없기 때문에 인터넷 환경이 느려지게 됩니다.
* 홈페이지용 이미지 : 72 ppi
* 신문 용지에 출력할 이미지 : 70~90 ppi
* 소설, 문제집 같은 일반 용지에 출력할 이미지 : 150~200 ppi
* 아트지 같은 고급 용지에 출력할 이미지 : 200~250 ppi
* 카탈로그, 책 표지, 브로슈어용 이미지 : 300 ppi
출처: https://wacomkoreablog.com/630 [Wacom Blog]
그런 이유로 위와 같이 각 작업에 맞게 ppi/ dpi 값을 미리 정하여 환경에 맞는 작업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위에 수치를 외우시고 나중에 작업을 할 때 설정값을 위와같이 하시면 좋겠죠?
여기까지 해상도와 dpi/ppi의 개념을 다뤄 봤습니다. 처음은 저런 거 몰라도 작업하는데 문제없겠지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이런 사소한 게 하나씩 쌓이다 보면 나중에는 큰 차이가 생길 수도 있다는 점 꼭 유념하시고 머릿속에 조금이나마 기억하고 있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저는 다음번 공부 글로 뵙도록 하겠습니다.
'공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포그래피란? (기능적 타이포 편) (0) | 2020.12.09 |
---|---|
타이포그래피란? (0) | 2020.12.03 |
신입디자이너에게 필요한 UI 용어 (0) | 2020.11.24 |
신입디자이너가 생각하는 UI란 무엇인가? (0) | 2020.11.20 |
신입디자이너가 생각하는 ux란 무엇인가? (0) | 2020.11.14 |